이슬람의 탄생 : 무함마드(MUHAMMAD) saw의 생애와 그가 남긴 유산, 그동안 파키스탄과 이슬람에 대한 글을 쓰면서 정작 선지자에 대한 글을 쓰지 못했습니다. 오늘은 이슬람의 창시자이자 예언자인 무함마드(saw)의 생애와 그가 남긴 유산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려 합니다.
1. 무함마드(saw)의 생애
1-1 무함마드(saw)의 어린 시절과 청년기
그는 주후 570년경 메카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공식 이름은 이븐 압둘라 이븐 압둘무탈립 이븐 하심(Muhammad ibn Abd al-Lah Abe al-Muttalib IbnHashim)으로 메카의 지배 세력이었던 쿠레이시 부족의 하심 가문 출신이며, 명문가의 후손이었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태어나지 전에 사망하고, 어머니도 그가 6살 때 사망하는 바람에 할아버지와 삼촌에 의해 양육되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목동이나 상인의 일을 하며 성장했고, 12세 때 삼촌을 따라 시리아로 무역 여행을 갔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바히라라는 기독교 수도사를 만났는데 , 바히라는 무함마드(saw)에게 예언자의 징표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세월이 흘러 25세 때 상인이자 미망인이었던 카디자와 결혼을 했고 그 결혼은 그에게 부와 명예도 함께 주었습니다. 그는 성품이 남다르고 정직하여 '정직한 자'라로 불리곤 했답니다.
1-2 무함마드(saw)의 계시와 설교, 논쟁
무함마드(saw)는 40세가 되던 해, 히라 산의 동굴에서 명상을 하던 중, 천사 가브리엘의 계시를 받았습니다. 천사는 그에게 '읽으라'라고 명령했으나 그는 문맹인이었습니다. 그가 "저는 읽을 줄 모릅니다."라고 대답하자 천사는 몇번을 반복해서 '읽으라'라고 합니다. 두려움에 떨고 있던 무함마드(saw)는 가까스로 집에 도착하여 아내인 카디자에게 설명을 합니다. 카디자는 그를 안정시키고 이것이 알라의 계시임을 알아차립니다. 이 사건이 이슬람이 시작된 계기입니다. 이후 천사의 음성이 들릴 때마다 그는 암기하고 그것을 자신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계시를 전했고, 그들은 무함마드(saw)를 믿고 첫 번째 무슬림이 됩니다. 그리고 3년 후 무함마드(saw)는 알라의 명령에 따라 공개적으로 설교를 시작하고, 유일신인 알라의 전지전능함, 만물의 창조, 최후의 심판 및 천국과 지옥 그리고 자신이 최후의 예언자라는 것을 주장합니다.
무함마드(saw)는 카디자와의 25년 결혼생활 동안 두아들과 네 딸을 두었지만 딸인 '파티마'를 제외한 자녀들이 모두 세상을 떠납니다. 후에 알리와 결혼한 파티마는 하산과 후세인 즉 두 아들을 두었는데 이들은 이슬람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이들을 따르는 이슬람의 분파가 바로 시아파 무슬림입니다.
카디자가 사망한 후 무함마드(saw)는 11명의 아내를 더 맞이합니다. 이 부분은 서구의 실랄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꾸란에는 특수한 환경(아이가 없는 경우 등)과 조건에서만 4명의 아내를 둘 수 있고, 그 아내들에게 공평해야 하며, 공평하지 못할 바에는 1명이 낫다 하며 사실상 일부일처 원칙을 제시했지만 그의 경우는 예외였기 때문입니다. 그는 칭기즈칸이나 고려의 왕건처럼 정치적인 이유나 부족과 부조 간의 화합을 위한 수단으로 부족장의 딸과 결혼하거나 이슬람을 위해 전사한 병사의 미망인과 결혼했습니다. 단 아이샤는 예외였는데 아이샤는 무함마드(saw)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조언자였던 아부 바크르(Abu Bakr)의 딸이었고 아홉 살에 약혼을 하고 12살에 결혼을 합니다. 이 부분도 비판을 많이 받는 부분인데 무함마드가 사도 시절 아랍 사회는 조혼은 흔한 현상이었고 조혼의 이유는 부족 간의 동맹, 가족의 명예를 지키기 기 위한 의도 등이었다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부족의 통일, 미망인을 보살피는 이유, 조혼 등 그 무엇이 되었든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하는 의문은 남습니다.)
1-3 무함마드(saw)의 탄압 그리고 헤지라
무함마드의 설교는 혼란을 가져 오게 됩니다. 기존의 메카의 모습은 다신교와 우상숭배를 하고 있었고, 유일신을 믿어야 한다는 설교를 하는 무함마드(saw)는 우상숭배가 흔한 사회에 반감을 사게 됩니다. 당시 메카는 상업과 무역 그리고 성지의 중심지로 무역과 순례로 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의 부족인 꾸레이쉬 부족까지 반감을 가지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무함마드(saw)와 그의 신도들을 비난하고, 모욕하고, 학대하고, 쫓아내려 했습니다. 무함마드(saw)는 그의 부족인 하심 가문의 보호를 받았지만, 그의 삼촌이 죽고, 그의 아내인 카디자가 죽은 후, 그의 지위는 약해졌습니다. 그는 메디나의 유대인과 기독교인들로부터 초청을 받고, 622년에 그의 신도들과 함께 메카를 떠나 메디나로 이주했는데 그것을 헤지라라고 하고 이 사건이 이슬람의 기원이 됩니다. 메디나에 도착한 서력 622년 6월 16일을 이슬람력의 기원으로 채택하였고, 2024년인 올해는 이슬람력 1445년을 맞고 있습니다.
1-4 무함마드(saw)의 메디나 시대와 정복
메디나에서 무함마드(saw)는 예언자이자 정치적 지도자, 군사적 지휘관이 되었습니다. 그는 메디나의 여러 부족을 통일하고, 이슬람 공동체를 구성했습니다. 그는 메카와의 전쟁을 벌이며, 여러 번의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630년에 그는 메카를 정복하고, 카바 신전의 우상들을 파괴하고, 알라를 위한 성소로 바꿉니다. 그는 아라비아 반도의 대부분을 이슬람의 지배하에 들였으며, 이웃한 나라들과도 외교관계를 맺었습니다. 무함마드는(saw) 632년에 사망했고, 그의 무덤은 메디나의 알-마스지드 알-나비(예언자의 모스크)에 있습니다.
2. 무함마드(saw)의 유산과 영향
- 무함마드(saw)는 이슬람의 창시자이자 최고의 권위자로, 그의 말과 행동은 코란과 함께 이슬람의 법과 윤리의 근거가 되었습니다. 그는 아라비아 역사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고, 아랍어와 아랍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그의 후손들은 칼리프와 술탄, 왕 등의 지위를 얻었고, 그의 이름은 세계에서 가장 흔한 남자 이름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무함마드는 세계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되며, 그의 삶과 가르침은 수많은 연구와 책, 영화, 예술 등의 소재가 되었습니다. 그가 처음 계시를 받은 622년부터 그가 사망하게 된 632년까지 10년 동안 계시는 간헐적으로 계속됩니다.
- 꾸란 속의 무함마드(saw)와 그의 유언 : 꾸란은 선지자를 완전한 인간으로 묘사하고 있고, 신격화하지 않습니다. 마지막 사도였다는 점을 분명히 하는 한편 인간으로 와서 인간으로 돌아간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도 스스로를 한 인간에 불과하다고 말하면서 그가 경배대상이나 구세주로 섬김 받을 수 있는 가능성까지 차단하기 위해 그의 모습을 남기지 말라고 유언합니다.
3. 무함마드(saw)에 대한 평가
- 램지스 2세(라멘세스 2세) : 고대 이집트의 파라오 램지즈 2세는 '신의 사자'라고 칭송했습니다.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Leibniz) :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무함마드를 '위대한 인물'이라고 평가했습니다.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e) :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그를 '정의와 진리의 전도사'라고 찬양했습니다.
-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 : 스코틀랜드의 작사가이자 역사가로 그를 '영웅적인 인물'이라고 칭했습니다.
- 마하트마 간디(Mahatam Gandhi) : 인도의 독립 운동가이자 비폭력주의자로, 그를 '신의 사랑과 자비의 사도'라고 높혔습니다.
- 마이클 H. 하트 : 미국의 작가이자 천체물리학자로 (랭킹 100 :세계사를 바꾼 사람들)이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그를 1위에 선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