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슬람과 무슬림

by paripari 2024. 6. 4.
반응형

이슬람은 세계 3대 종교중 하나로, 유일신 종교입니다. 어느덧 우리 주변에서도 이슬람을 접할 수 있는 기회들이 종종 생기곤 합니다. 오늘은 이슬람에 대해 주요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슬람-모스크
모스크(이슬람 사원)

이슬람과 무슬림

이슬람교는 7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된 아브라함 계열(가톨릭, 개신교 등)의 유일신교로, 알라(하나님이란 뜻으로 아랍어)를 유일신으로 믿고, 무함마드를 최후의 예언자로 인정합니다. 이슬람이라는 단어는 아랍어로 '복종', 또는 '순종'을 의미하며, 이슬람을 믿는 사람들을 '무슬림' , 여성 신자들을 '무슬리마'라고 부릅니다. 이슬람교는 정교일치(신정일치) 체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종교와 정치가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칼리프(종교적 지도자)가 정치적 지도자 역할도 수행합니다.

꾸란과 종교적 의무

1. 꾸란 

이슬람의 기본 경전으로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로 부터 받은 알라(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한 것입니다. 꾸란은 이슬람 신앙의 핵심이며, 모든 무슬림이 따라야 하는 지침을 담고 있습니다. 

2. 종교적 의무

  1. 신앙 고백(샤하다) : "알라 외에 신이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라는 고백을 합니다.
  2. 기도(쌀라) : 하루에 다섯번, 정해진 시간에 사우디아바비아의 메카를 향해 기도합니다.
  3. 구제(자카트) : 소득의 일정부분을 가난한 이웃에게 나누어주는 기부행위입니다.
  4. 단식(사움) : 이슬람력 9월 라마단 달에 해가 뜨는 동안 금식을 합니다.
  5. 성지 순례 (하지) : 가능한 경우(경제적 여유), 적 얻도 일생에 한 번은 메카로 순례를 가야 합니다.

지하드(성전)

지하드는 '신의 길에서의 노력'을 의미하며, 내적인 영적 투쟁(자기 수양)이나 외적인 신앙 방어를 모두 의미할 수 있습니다.

수니파와 시아파

이슬람의 주요 교파는 수니파와 시아파, 수피파로 다양하게 나눌 수 있습니다. 소규모의 분파가 있지만 주요 교파는 수니파와 시아파입니다. 수니파는 전체 무슬림의 약 80~90%를 차지하고 시아파는 약 10~20%를 차지합니다. 각 교파는 무함마드 사후 후계자와 관련된 역사적 분열로 인해 형성되었습니다.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인 칼리프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무함마드의 가까운 동료들 중 모범이 될 수 있는 사람들이 선출되었습니다. 갈등이 시작된 것은 632년 무함마드 사후 후계자 선출을 둘러싸고 분쟁이 시작되었고, 이러한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양 종파 간 갈등이 지속되어 왔으며, 20세기 이후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란의 대립으로 이어졌습니다.

  • 수니파 : 무함마드의 모범(순나)을 따르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공동체에 의해 선출된 칼리프라면, 무함마드의 혈통이 아니라도 상관없다는 주장을 합니다. 또한 수니파에서의 '이맘'은 단순히 종교예배를 관장하는 종교지도자에 불과하며 특별한 권력을 지니지 않습니다.
  • 시아파 :  '알리의 추종자들'이라는 뜻입니다. 무함마드 혈통만이 지도자가 될 수 있고, 무함마드의 혈족 제4대 칼리프인 '알리'(무함마드의 사위)와 그 후손만을 인정합니다. 더욱 종교적이고, 시아파에서의 '이맘'은 가장 위대하고 훌륭한 스승이며, 신성한 존재로서 종교와 정치, 사법권의 모든 권력을 소유합니다. 대표적인 시아파의 나라는 이란입니다.
반응형